1. 국제주의 양식이란 무엇일까?
1920년대 미국과 유럽 등 서양에서 시작되어 세계로 응용된 양식이다. '국제주의 양식'이라는 단어는 1937년 국제 모던건축전시회에서 '필립 존슨'이 확립한 용어로서 규격화된 철근 콘크리트와 유리는 주재료로 사용한 양식이다. 세계적으로 건축계의 공통화 현상으로 등장하게 되었으며, 건축물의 실용성, 기능성을 중시하고 재료와 구조의 합리적인 적용을 지향했으며 민족적, 지역적인 차이를 없애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적합하고 합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양식이다.
2. 탄생 배경
국제주의 양식은 20세기 중엽 서양에서 주류를 이루었다. 이 국제주의 양식은 19세기 말 건축가들이 겪은 세 가지 현상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건축가들은 여러 양식을 절충한 건물이 계속 반복되어 생겨나는 것에 불만이 쌓여갔다. 이는 건물의 기능과는 전혀 상관없고 사용자와도 관련 없는 여러 시대를 걸친 다양한 양식들이 적절하게 혹은 지저분하게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싫어하며 배척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는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속도로 발전하고 산업화한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사무용 건물이나 상업용 건물들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발현으로 인해 공공 건축물들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즉,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사회에게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근로자들이 일을 반복적으로 생산적으로 할 수 있는 사무실과 업무공간이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세 번째로 철과 강철, 철근 콘크리트, 유리를 주로 사용하는 새로운 건설 시대가 열렸다. 이 또한 산업혁명의 영향인데, 산업혁명으로 인해 철과 유리가 대량생산으로 제작되는 시대가 되면서 인간이 구축할 수 있는 건축물은 다양해질 수 있었다. 벽돌을 쌓아 만든 벽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그 자리에 유리를 대어 온전하게 밖을 볼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었고, 콘크리트에 철근을 넣어 구조적으로 콘크리트를 보완한 철근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게 되면서 더 넓고 큰 공간, 건물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이전에 작성된 글 중에서 근대건축의 다섯 가지 원칙과 연결될 수 있다.
2023.01.15 - [건축설계 직장인의 일상생활/건축 지식 모음집] - 근대 건축, 모더니즘
근대 건축, 모더니즘
19세기 이전에 성행하던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비판하며 발생한 새로운 건축계의 움직임이다. 미국의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의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Form follows function)"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
stoneheadsnowboarder.tistory.com
3. 국제주의 양식의 특징
국제주의 양식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근대건축의 한 양식으로써, 구조와 기능이 중시되어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작된 미학적 논의는 볼륨의 강조, 규칙성, 장식의 배제와 자유로운 평면들로 특징된다. 개방된 실내 공간을 장식과 형식적인 요소들을 모두 배제하였고, 규칙성과 비대칭, 빛에 의한 입체감 등이 특징이 되었다. 일각에서 필립 존슨은 방의 벽을 책이 가득한 선반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좋은 장식이라 주장하며 벽에 색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강한 경고를 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당시 국제주의 건축양식의 대부분의 건축물은 흰색으로 자연환경에 강한 대비를 주었으며 이로써 추가적인 미학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기존의 견고성과 매시브한 공간에 반대되는 것으로써 얇은 면들로 이루어진 공간을 갖기도 하였으며, 대칭적인 장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명백한 균형에 반대되는 것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규칙을 만들기도 하였으며 표준화된 재료의 사용이나 구조체의 규칙적인 간격과 리듬, 연속적인 패턴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공간에 부가되는 장식을 철저하게 배제하였으며 재료가 가지는 재료 자체의 본질적인 아름다움과 우아함, 구조들이 가지는 기술적인 패턴의 완벽성, 견고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것들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비례와 같은 것들이 국제주의 양식이 가지는 형태적인 외관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외관에서 나타나는 모습들이 실내에도 반영되었는데, 곡선을 배제하여 직선적인 요소를 많이 사용하고 장식적인 요소를 억제하였으며 투명한 유리의 사용으로 내부와 외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도모하였는데 이때 통유리벽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일관된 모듈을 이용하여 연속성과 규칙성을 부여하였고 자유로운 평면구성이 가능해짐으로써 폐쇄적이던 공간에 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탁 트인 내부 공간을 구성할 수 있었다. 가구도 역시 이러한 공간적 특징에 따라 직선적이고 단순하고 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가구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바르셀로나 의자와 테이블(Barcelona Chair&Table) 등이 있다. 이러한 건물들은 당시 산업혁명으로 인해 생겨난 새로운 자재들을 사용하였으며, 건축물에 대한 사회의 새로운 요구와 새로운 미적 취향에 걸맞은 형태를 만들어 냈는데, 여기서 기술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량 생산된 값싼 철과 강철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이 성행하면 벽돌과 돌로 이루어진 석조건축의 전통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또한 건물의 외부를 유리로 마감하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근대건물에 필요한 기술이 완성되었으며 건축가들은 이런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그래서 국제주의 양식은 건대 건축물의 형태와 외관이 재료나 기술의 가능성에서 형성되어야 하며 이런 것들을 표현해야 한다는 강령 아래에 생겨났다. 즉, 마침내 예술적인 표현과 기능, 기술 간의 조화가 건축물에서 정제된 상태로 구현되었다. 이런 건축계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준 몇몇 건축가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발터 그로피우스와 미스 반데어로에, 르코르뷔지에, 필립 존슨, 리처드 노이트라, j.j.p 노트 등이 있다.
'건축 지식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0) | 2023.01.18 |
---|---|
건축학과 학생들을 위한 'GIS' 상식 (0) | 2023.01.18 |
모더니즘에 벗어나다, 포스트 모더니즘 (0) | 2023.01.16 |
바우하우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1.16 |
근대 건축, 모더니즘 (0) | 2023.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