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지식 모음

19세기의 건축계

by 이다자 2023. 1. 22.

1. 고전주의 건축

19세기는 기존의 정토주의적인 시대에 비해서 상당히 많이 발전이 되고 근대화되어 현대를 향해가는 과도기적인 시대인데, 처음에는 유러피안의 고대시대에 대한 예찬과, 나폴레옹의 로마제국에 대한 동경을 반영하여 고대 그리스양식을 따르는 건축과 로마시대의 양식을 따르는 건축물들이 많이 세워졌다. 하지만 이 시기는 왕정과 귀족문화의 권력 중심의 공간을 만들던 시대에서 벗어나 공공적인 건물이 많이 발전하게 된 시대로서, 프랑스 파리에 있는 에투아르광장에 유명한 관광지인 샬그랭이 설계한 개선문은 전형적인 로마양식을 취하고 있으며,  비뇽이 설계한 파리의 마들렌 사원은 그리스신전의 양식을 가장 진하게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의 간결한 디자인을 담은 건축물은 독일에서 번성함으로써 덴마크의 조각분야에서 토르발센과 더불어 북유럽의 고전주의의 대표자로 일 걷는 건축가 싱켈을 배출하였다. 싱켈은 후에 낭만주의적인 경향도 보였으나, 독일 베를린의 국립극장은 고대의 간결한 아름다움과 엄정함을 가진 그의 대표작이다. 또한 영국에서는 스머크가 설계한 런던의 대영박물관과 미국의 국회의사당도 고전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2. 낭만주의 건축

나폴레옹이 몰락하고 각 나라들은 다시 부흥을 목표로 삼아 활동하던 19세기 전반기에는 국가주의가 왕성하였던 시기였다. 이미 모든 유럽에 공통적으로 퍼진 경향인 낭만주의는 이미 문학에 있어서 일찍부터 고대시대에 대해 반하는 움직임으로서 낭만주의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건축에서는 각 나라가 가진 민족적인 뿌리인 중세기를 향한 그리움을 상기시켜서 고딕양식을 근대화하여 사용하였다. 또 동시에 중세의 사원과 건조물을 수리하는 작업들이 이뤄지게 되었고 많은 나라들이 고딕건축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었다. 독일의 싱켈은 이때 낭만주의적 성향을 갖고도 활약을 보였으나, 뮌헨에서 게르트너가 르네상스를 돌아볼 수 있는 도서관을 설계하였고, 비올레르 뒤크가 노트르담 사원을 비롯한 각종 건물을 수축했고, 그의 책에서는 중세건축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켰다.

 

3. 절충주의 건축

19세기 후반에는 하나의 역사적인 양식을 채택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다양한 양식의 절충안을 개발하여 새로운 시대와 환경, 사회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건축의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고자 하는 절충주의가 성행하게 되었다. 그래서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의 화려하고 복잡함이 서로 뒤섞여 나타나게 되었고,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도시가 매우 흥행하게 되면서 현저하게 도시 각지에 건축물이 많이 지어지게 되었는데, 건축가 젬퍼는 르네상스 양식을 추구하여 드레스덴에 오페라극장을 설계하였고,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수도건설을 위한 도시계획가로 참여하였다. 프랑스의 몽마르트르의 사크레 쿠르 사원도 로마네스트양식을 이용한 건물이며, 라브루스트 건축가는 파리의 도서관을 통해 세련된 정면을 나타내는 건축을 선보였으며, 건축가 가르니에는 파리의 중심지에 화려한 오페라 극장을 설계하였다.

 

4. 기능주의 건축

19세기 후반은 모든 사회 전반이 현대로 넘어가는 발전의 시대이며, 건축은 미술이나 공예 등 다른 분야보다 더 실생활에 실용적으로 가까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한층 더 현실사회와 연결되는 발전을 보이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궁전이나 사원 등 신이 나 왕, 권력을 위한 공간에서 벗어나 공공적인 목적의 건물이 많이 지어지는 시기로서, 기계의 발달로 인해 건축의 방법을 변화시켜 종전보다 훨씬 합리적인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그동안 재료도 혁신적으로 변하게 되었는데 철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유리가 이전보다 더 투명해지고, 안정성을 갖추게 되었고, 철근콘크리트가 등장함으로써 건축을 짓는 과정에 있어서 새로운 세계를 열어놓게 되었다. 1851년에 영국에서는 개최한 만국박람회에서 팍스톤이 설계한 수정궁이 철과 유리로 건설되면서 기존의 석재건축과 완전 다른 모습에 유럽 전역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때 이미 건축계는 외관을 자랑하는 태도보다 용도를 중심으로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데에 집중하게 되면서 프랑스에서 라브루스트는 파리 국립도서관 안에 있는 대열람실을 완성하게 되고, 철의 지주를 사용하여 이전보다 훨씬 큰 공간을 강요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에펠은 파리에서 열린 만국박람회를 위해 그 유명한 에펠탑을 건설하면서 철의 도입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철이 필요했던 상황들을 모두 해결하게 되었고 이런 기술을 이용해 공장, 시장, 백화점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큰 공간들을 만들기 시작했다. 한편 영국의 공예분야에서는 윌리엄 모리스가 주도하여 과거의 양식을 물리치고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을 이용하여 간결하고 단순한 작품을 만들어내기도 했는데, 이런 활동들이 건축계에도 영향을 주여 19세기말부터는 번잡한 양식들을 버리고 기능을 중요시하는 평면구성과,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참신한 건축을 지향하는 움직임들이 모든 나라에서 잇따라 ㅇ리어나 점진적으로 계속해서 현대를 향해 발전하고 있었다.

 

5. 19세기 초반 공예

공예분야에서는 19세기 전반기와 후반기 두 시기로 나뉘게 되는데 그 당시 시민들은 사회적인 세력으로 변화하여 그들의 요구가 사회전반에 반영되기 시작하였으며, 기계의 등장으로 인해 공예품도 수작업의 시대에서 벗어나 대량생산, 양산화의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전반기에는 여전히 고전적인 취향이 남아있었다. 왜냐하면 서민들에게 새로운 계층이 생겨나게 되면서 과거의 귀족들이 누리던 것들에 대한 그리움으로 그때의 양식이 반영된 것들이 생활 속에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그리스, 로마의 양식을 택했던 장식이 성행하였고, 특히 나폴레옹의 영향으로 프랑스에서는 한동안 모든 것이 로마제국풍의 장식을 따르게 되었고 그것들은 앙피르제국 양식으로 불린다.

 

 

 

 

 

 

 

반응형

댓글